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- bash
- cygwin
- solaris
- patch
- perl + 정규표현식
- Network
- oracle install
- prompt
- mariaDB
- oracle
- php5
- 연산자
- SQL
- memory
- PERL
- MySQL
- grid
- 오라클
- command & perl
- dba
- rac
- Linux
- Unix
- solaris network
- Oracle RAC
- perl one-liner
- RHEL4
- perl string
- sqlplus
- fdisk
- Today
- Total
목록fdisk (2)
DATA 전문가로 가는 길
작성자 : 박상수 작성일자 : 2010.12.03 작업환경 : VMware7 [ Solaris 9 ] 1. Slice(parttion) 개요 - Cylinder의 그룹 - 0~7번 Slices로 구성 - Slice 2는 전체 Disk를 표현(수정불가) * Cylinder의 총개수 - Benefit * Data의 조직화 * File Access 속도 감소 * I/O performance 향상 2. Disk Slice Naming Convention 3. 리부팅 하지 않고 Hard 추가 방법 [설명] Solaris에서 인식한 하드 확인 [root@estenpark:/] # format Searching for disks...done AVAILABLE DISK SELECTIONS: 0. c0d0 /pci@0,..
작성자 : 박상수 작성일자 : 2010.11.18 작업환경 : VMware7 [ Redhat Enterprise 4 ] 1. 디스크 추가 2. 파티셔닝 - fdisk [설명] fdisk를 이용하여 Disk가 제대로 생성 되었는지 확인 합니다. 아래 그림을 보면 Disk /dev/sdb가 추가 되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. [설명] fdisk를 이용하여 파티션을 생성 합니다. [설명] fdisk /dev/sdb 명령어를 수행하면 아래와 같은 그림이 나옵니다. 그럼 help를 이용해서 어떤 명령어가 있는지 확인 해보도록 하겠습니다. [설명] n add a new partition이라고 되어 있는 것을 보니 파티션을 생성하는 옵션이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겁니다. 그럼 아래와 같이 파티션을 하나 생성 하도..